안녕하세요 버블곰입니다.
오늘은 엑셀 MAX함수에 대해서 배워보겠습니다.
MAX 함수는 얼핏 생각했을 때는 수학 관련 함수인 것처럼 보입니다만,
구분 자체는 '통계'에 포함되어 있는 함수입니다.
MAX
선택한 값 중에서 '가장 큰 숫자'를 구하는 함수입니다.
함수설명
|
=MAX(선택한 셀1, 선택한 셀2, 선텍한 셀3...) 또는 =MAX(입력한 숫자1,입력한 숫자2, 입력한 숫자3...)
|
예제
|
=MAX(A1,A2,A3...) 또는 =MAX(1,5,7...)
|

MAX 함수 / 함수 마법사로 살펴보기
함수 마법사를 통해 살펴보는 MAX 함수입니다.
앞서 설명드렸듯 가장 큰 숫자를 구하는 함수입니다.
그래서 논리값과 텍스트는 제외를 시킨다고 되어있습니다.
예제를 보면서 더 배워보도록 하시지요.

=MAX(선택한 셀1, 선택한 셀2, 선텍한 셀3...) 예제
5개의 인수목록을 임의로 만들었고, 그 중 가장 큰 수를 MAX 함수를 통해 구했습니다.
결과값은 '27'입니다.
지금 주어진 5개의 인수목록 중 가장 큰 수가 그것이라는 의미입니다.
만약 논리값이나 텍스트가 입력되면 어떤 결과값을 돌려줄까요?

=MAX(선택한 셀1, 선택한 셀2, 선텍한 셀3...) 예제2
함수 설명에도 나와있었듯, 논리값과 텍스트는 되고 결과값이 나왔습니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바로 문자열인데요.
숫자만 입력된 문자열 형식의 값은 인수로 직접 입력 시 숫자로 변환되어 계산됩니다.
어떤 내용인지 예제를 더 살펴보시지요.

=MAX(입력한 숫자1,입력한 숫자2, 입력한 숫자3...) 예제
그냥 숫자만 있을 때는 별다른 문제점이 느껴지지 않습니다.

=MAX(입력한 숫자1,입력한 숫자2, 입력한 숫자3...) 예제2
지금 예제에서는 어떻습니까?
"34"라는 문자열 인수가 입력되어 있습니다만, 분명 앞선 셀을 선택하는 방식과 다르게 숫자로 인식되어 최대값이 되었습니다.
MAX는 간단한 함수이지만, 이러한 인수를 인식하는 방법에서 특이사항이 있으니 체크하고 넘어가시도록 하시죠!
자, 여기까지 MAX함수에 대해 배워봤습니다
다음에는 더 쉽고, 간단한 #엑셀 #함수 배우기로 돌아오겠습니다.
그럼 안녕!
'IT 인터넷 사용 꿀팁 > 엑셀, 구글스프레드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엑셀꿀팁]COUNT함수 기초 / 개수를 구하는 함수 (2) | 2023.03.19 |
---|---|
[엑셀꿀팁]MIN 함수 기초 / 최소값 구하기 (0) | 2023.03.19 |
[엑셀꿀팁]TODAY함수 기초/오늘 날짜 가져오기 (0) | 2023.03.19 |
[엑셀꿀팁]NOW함수 / 시간함수 (0) | 2023.03.19 |
[엑셀꿀팁]엑셀 비교연산 기초/비교 연산자 종류 (0) | 2023.03.19 |